top of page

GRID

drawing-II-value-grid-03.jpg

drawing-II-value-grid-03.jpg

Chuck Close를 참고하세요.이 이미지들은 사진 이미지를 기초로 합니다.(포토리얼리즘의 대가).

drawing-II-value-grid-01.jpg

drawing-II-value-grid-01.jpg

이미지는 Chuck Close가 스탬프를 이용해 핑거 프린트로 만들어졌습니다.

close09.jpg

close09.jpg

격자 마다 각각의 스퀘어를 연구하십시오, 그리고 그의 명암 체계를 이해하세요.

close10.jpg

close10.jpg

여기에 모든 정사각형들이 평평한 명암들로 만들어진 것에 주목하십시오.

close06.jpg

close06.jpg

Chuck Close는 쇠라가 캔버스에 그리는 방법으로 색을 유사하게 사용합니다.(하나의 격자 안에 병치혼합 적용)

VM-AfterChukClose2001b.jpg

VM-AfterChukClose2001b.jpg

이 그림은 Chuck Close에 대한 경의를 표현한 것이다. 격자들을 채우기 위하여 종이를 잘랐는 방법에 주목했습니다. 당신이 색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이 프로젝트를 하기 위해 흑백의 소스, 신문지를 이용합니다.

VM-Jorge2003b.jpg

VM-Jorge2003b.jpg

이 접근은 격자의 구조없이 좀 자유롭게 한 것이다.

drawing-II-value-grid-02.jpg

drawing-II-value-grid-02.jpg

부서진 격자의 예

graphic-the-grid-061.jpg

graphic-the-grid-061.jpg

부서진 격자의 보기입니다. 볼펜과 크로스 해칭 기술은 명암의 범위를 만들 수 있습니다. 명암의 단계를 발전시킬 때는 재료와 기술을 고려하십시오.

graphic-the-grid-05.jpg

graphic-the-grid-05.jpg

소재를 선택하고 화면의 구성을 위한 트리밍을 신중하게 시도하여야 한다.

value-scale-05-1.jpg

value-scale-05-1.jpg

톤을 만드는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중 얼굴을 그리는 화가, 김동유

작업 과정

캔버스 위에 컴퓨터로 확대 출력한 그림과 먹지를 대고 볼펜으로 그대로 옮겨 그린다.

주사기로 화면의 귀퉁이부터 색을 채워간다. 가는 주사기 끝으로 먼저 물감을 발라놓고

그 물감을 찍어 세필로 얼굴을 하나하나 그려간다.

밑도 끝도 없이 수천 개의 작은 면을 채워가는 이 묵묵한 단순노동은 마치 면벽한 수도승과 닮았다.

이 작업을 위해 자신을 가두고 하루 12시간씩 매달렸다.

bottom of page